개발 공부/오픈소스 와 플랫폼

오픈소스(Open Source)의 이해와 활용/ 플랫폼(Platform)의 개념②

수달하나 2019. 7. 10. 10:36

 

IT 산업군에 있어서 플랫폼이란 제품을 만들기 위한 실행환경개발환경을 의미한다다. 

즉 환경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말인데, 여기서 키워드는 제품, 실행환경 그리고 개발환경이다.

 

물론 여기서 추가적으로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환경인 비지니스 모델까지 존재해야지만 더 많은 활성화를 이뤄낼 수 있다.

 

플랫폼의 개념을 스마트폰으로 설명을 해보면 구글에서 제공해주는 오픈소스 플랫폼인

안드로이드로 생각을 해보면 된다. 스마트폰을 살펴볼때 가장 낮은 층에서부터 플랫폼의 개념을 적용시킬 수 있는데

스마트폰에 포함된 디바이를 관리하는 Device Program층 같은 경우에는 메모리 관리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c 프로그래밍, 그리고 그 윗 층는 c++ 그리고 그 윗층은 흔히 우리가 알고있는 안드로이드 라는 플랫폼인 자바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이런 윗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기능을 추가시킨다.

 

그렇다면 오픈소스 플랫폼이 왜 등장 했을까.

 

세상이 점점 발전하면서 하드웨어의 크기가 커졌다. 예를들어 블루투스 기능이 추가되고 오디오 기능이 추가되고 또 기타 등등 여러가지 Device 들이 추가되면서 하드웨어가 성장했다.

그에 따라서 이 모든 Device 들을 다루기 위한 OS 의 기능이 계속 추가되야만 했는의

각각의 개발환경이 다를때는 각각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맞는 조건을 따로 맞춰줘야만 했기 때문이 이 시스템들이 통합되었을때 전체 시스템이 정지하거나 죽는 현상이 계속 발견됬다. 따라서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을 하고 그 플랫폼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맞춰놓은 것이다.

 

궁극적으로 하나의 통합적인 플랫폼의 개발및 사용은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는것에 있어서

개발자의 의존성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됬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플랫폼을 개발하려고 삼성이 노력을 많이 했는데

플랫폼의 모델로는 MOCHA->BADA->TAJEN 등등의 플랫폼을 개발했지만

결과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은 구글의 안드로이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