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시스템 구성
정적 리소스는 웹 서버가 처리 하고 애플리케이션 로직같은 동적인 처리가 필요하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요청을 위임 하게 되는 형식으로 많이 설계가 되고 있다. 또 이런방식의 설계는 효율적인 리소스를 관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정적 리소스가 많이 사용되면 웹 서버를 증설하고 애플리케이션 리소스가 많이 사용되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증설하면 된다. 또 이러한 설계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오류를 발생했을 경우 웹 서버에서 오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정적 리소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는 오류의 확률이 적다)
Servlet 서블릿
HTTP 요청이 오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Request, Response 객체를 새로 만들어서 서블릿 객체를 호출한다. 개발자는 Request 객체에서 HTTP 요청 정보를 꺼내서 사용하고 Response객체에 HTTP 응답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Response 객체에 담겨있는 내용으로 HTTP 응답 정보를 보내주게 된다. (서플릿 객체는 서플릿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생성하고 호출해준다.)
@WebServlet(name = "helloServlet", urlPatterns = "/servlet")
public class Hello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작성한다.
}
}
Servlet Container 서블릿 컨테이터
톰캣처럼 서블릿을 지원하는 WAS(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한다.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 객체를 생성, 초기화, 호출, 종료하는 생명주기 관리하고 서블릿 객체는 싱글톤으로 관리한다.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계속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최초 로딩 시점에 서블릿 객체를 미리 만들어두고 재활용한다. 따라서 모든 고객 요청은 동일한 서블릿 객체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때문에 공유 변수 사용 주의해야 하며 서블릿 컨테이너 종료시 함께 종료된다. JSP도 서블릿으로 변환 되어서 사용되고 동시 요청을 위한 멀티 쓰레드 처리도 지원하고 있다.
멀티 쓰레드
쓰레드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하나하나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쓰레드라고 한다. 자바 메인 메서드를 처음 실행하면 main이라는 이름의 쓰레드가 실행이 된다. 쓰레드가 없다면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불가능 하고 쓰레드는 한번에 하나의 코드 라인만 수행한다. 동시 처리가 필요하면 쓰레드를 추가로 생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요청 마다 쓰레드를 생성하게 되면 동시 요청을 처리하고 하나의 쓰레드가 지연이 되도 나머지 쓰레드는 정상으로 동작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쓰레드의 생성 비용은 매우 비싸며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쓰레드를 생성하면 응답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 또한 너무 많은 고객 요청이 오게되면 CPU, 메모리의 임계점이 넘어서 서버가 죽을 수 있다.
쓰레드 풀
따라서 쓰레드 풀을 생성해 놓고 놀고 있는 쓰레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요청을 수행한다. 이후 사용이 끝난 쓰레드는 쓰레드 풀에 반납을 한다. ex) 200개의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 넣어 놓으면 200개 이하의 요청이 동시에 왔을 때는 요청을 수행하고 쓰레드 풀 안의 쓰레드 갯수를 넘어가는 요청이 올 경우 요청을 대기하거나 거절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런 방식은 쓰레드가 미리 생성되어 있으므로, 쓰레드를 생성하고 종료하는 비용이 절약되고 응답 시간이 빠르다. 또한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가 있으므로 너무 많은 요청이 들어와도 기존 요청은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