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Java 개발자 입니다

Spring/DI

의존관계 주입

의존관계의 주입방법은 크게 4가지 존재.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생성자 주입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 관계를 주입 받는 방법이다. 생성자 호출 시점에서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된다. 한번 호출이 되면 바뀌면 안된다. 생성자가 딱 1개만 있으면 @Autowired를 생략해도 자동 주입 된다. (요즘에는 이렇게 사용한다는데 흠 나는 명시하는게 더 좋을것 같음.)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setter라 불리는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수정자 메서드를 통해서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법이다. 선택, 변경 가능성이 있는 의존관계에 사용 JAVA Bean Property 규약의 수정자 메서드 방식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Autow..

Spring/DI

의존관계 주입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관계 주입 DI(Dependency Injection) 행위의 동작을 나타내는 클래스는 실제 어떤 구현 객체가 사용될 지 모르도록 인터페이스에 의존해야 한다.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와,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 의존 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정적 클래스 의존관계 클래스가 사용하는 import 코드만 보고 의존관계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클래스 다이어 그램을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클래스 의존관계만으로는 실제 어떤 객체가 주입이 될지 알 수 가 없다. 동적 클래스 의존관계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런타임)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을 의존관계 주입이라 한다. ..

수달하나
'DI'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