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Java 개발자 입니다

개발 공부/블록 체인

블록체인 개념 정리 ③ [블록체인의 헤더와, 체인이 연결되는 과정]

안녕하세요 수달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블록체인의 마지막 시간으로 블록체인의 헤더와 체인이 연결되는 과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블록체인의 첫 번째 시간에 블록체인이 연결되는 방식은 해당 블록의 해시값이 이전 블록을 가리키는 형태로 연결되어있다고 얘기 했습니다. 하지만 사실 이전 블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이전블록의 헤더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블록의 헤더에는 난스(Nonce), 타임 스탬프, 난이도, 이전 블록헤더의 해시값 그리고 머클트리의 루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타임 스탬프란 해시 퍼즐 풀이를 시작한 시각을 담고 있는 정보입니다. 타임 스탬프를 제외한 모든 것들은 이전 시간에 다 설명한 내용이기 때문에 추가 설명을 하지 않겠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블록헤더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준수해야 ..

개발 공부/블록 체인

블록체인 개념 정리 ② [ 블록체인 데이터 머클트리와 암호화 기법을 통한 트랜잭션 검증 ]

안녕하세요 수달입니다. ​ 오늘은 저번시간에 이어서 블록체인의 두번째 시간입니다. 저번시간에는 블록체인의 정확한 정의 그리고 기본적인 구조와 체인이 연결되는 방법, 즉 해시함수를 통한 해시값 도출과정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이번시간에는 데이터 머클트리와 암호화 기법을 통한 트랜잭션 검증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데이터 머클트리, 암호화 기법 그리고 트랜잭션 까지 모르는 용어가 3가지 등장했지만 어려운 용어는 아닙니다. 가장먼저 알아야 할 용어는 바로 트랜잭션입니다. 트랜잭션 (Transaction)이란 기본적으로는 거래라는 뜻 이며 모든 거래를 기록하기 위해 시스템 내부에서 거래기록의 과정과 결과를 담아놓은 장부를 뜻합니다. 예를들어 금융 시스템에서의 트랜잭션이 의미하는 바는 이동하는 재화의 이체 ..

개발 공부/블록 체인

블록체인 개념 정리 ① [ 블록체인의 구조와 P2P 시스템 , 해시함수와 해시값 도출 ]

안녕하세요 수달입니다. ​ 오늘은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블록체인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 일단 기본적으로 블록체인이란 것은 블록이 체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정확하게 풀어본다면 ​ 블록체인이란 무결성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순서에 따라 연결된 블록들의 정보 내용을 암호화 기법과 보안 기술 알고리즘으로 구성한 원장의 순수 분산 P2P 시스템입니다. ​ 무결성이라는 것은 시스템이 정상 방법으로 예정된 기능을 수행할 경우, 고의 또는 부주의로 인한 비인가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정보 시스템 속성을 의미하고 (어떠한 이유로든지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 원장이라는 것은 회계상 모든 거래의 발생 내용을 작성한 장부를 말합니다. ​ 블록체인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수달하나
'개발 공부/블록 체인' 카테고리의 글 목록